티스토리 뷰



반응형

66년간 한국 전통가요의 중심에 있었던 이미자가 고별 무대 ‘맥을 이음’을 통해 음악 인생의 대미를 장식합니다. 단순한 은퇴 무대가 아닌, 전통가요의 맥을 이어가게 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 하려는 분들이 너무도 많기 때문에 예약전쟁은 불보듯 뻔합니다.

 

 

 

이미자 고별 공연
이미자 고별 공연

1. 🎶 66년 전통가요의 길을 걸어온 이미자

대한민국 전통가요의 상징이자, ‘엘레지의 여왕’으로 불리는 이미자(84)가 공식적으로 가수 활동을 마무리하는 고별 공연을 갖는다. 오는 4월 26~2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리는 이 공연의 제목은 ‘맥을 이음’으로, 단순한 은퇴 공연이 아니라 전통가요의 명맥을 이어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미자는 1959년 데뷔 이후 무려 66년 동안 전통가요 한길을 걸어왔다. ‘동백아가씨’, ‘여자의 일생’, ‘섬마을 선생님’ 등 그녀가 남긴 수많은 히트곡들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고 있다. 또한, 그녀는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가장 많은 앨범을 발매한 가수로도 기록되며, 전통가요의 가치를 수십 년간 지켜온 인물이다.

이번 공연을 앞두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미자는 “가수로서의 공연과 레코딩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며 공식적인 은퇴를 선언했다. 그녀는 “그동안 ‘은퇴’라는 말을 삼가 왔지만, 이제는 무대에서 내려와야 할 때가 왔다”며 심경을 전했다.

 

 

 

 

 

 

 

 


2. 🎤 ‘맥을 이음’, 후배 가수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무대

이미자의 마지막 무대에는 그녀가 신뢰하는 후배 가수들이 함께한다. 그녀는 후배들에게 전통가요의 맥을 잇는 의미 있는 바통을 넘기기 위해 신중히 공연을 준비했다.

고별 공연 ‘맥을 이음’에는 주현미(64), 조항조(66), 정서주(17) 등 다양한 세대의 가수들이 함께 무대에 오른다. 이미자는 “이번 무대는 단순한 은퇴 공연이 아니라, 후배들에게 전통가요의 정신을 이어주는 시간”이라며 공연의 의미를 강조했다.

  • 주현미 – 트로트와 전통가요를 넘나드는 실력파 가수로, 이미자의 음악을 계승하는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
  • 조항조 – 감미로운 목소리와 깊이 있는 감성으로 사랑받는 가수로, 이미자의 음악적 철학을 이어가는 후배.
  • 정서주 – 17세의 젊은 가수로, 전통가요의 새로운 세대를 대표하는 인물.

이미자는 “이 공연을 통해 전통가요가 여전히 사랑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미자 고별 공연

 

 

3. 🎵 이미자의 음악이 특별한 이유

이미자는 단순한 트로트 가수가 아니라, ‘전통가요의 수호자’였다. 그녀는 트로트라는 장르가 시대에 따라 변해가며 가벼운 유행가로 소비되는 것을 경계해왔다.

그녀는 전통가요와 트로트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트로트가 단순한 대중가요로 소비되면서, 과거 우리의 삶과 애환을 담아낸 전통가요의 가치는 점점 잊혀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가요는 우리 부모님 세대가 힘든 시절 위로받았던 노래들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신념 덕분에, 그녀는 ‘트로트의 여왕’이라는 타이틀도 사양하고 ‘전통가요 가수’라는 명칭을 고집했다. 그녀의 음악은 단순한 흥겨운 리듬이 아니라,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감정을 담아낸 깊은 울림을 가진다.


4. 🎼 세종문화회관과 이미자의 깊은 인연

이번 공연이 열리는 세종문화회관은 이미자에게 남다른 의미를 가진 곳이다.

과거 전통가요가 ‘서민들의 음악’으로 치부되며 천대받던 시절, 1989년 이미자는 대중가수 최초로 세종문화회관에서 30주년 기념 콘서트를 열었다. 당시에는 전통가요 가수가 클래식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웠다.

공연을 앞두고 세종문화회관 측에서는 **“고무신 신은 사람들이 몰려올까 봐 걱정된다”**는 이유로 대관을 거부했다. 하지만 이미자는 대중가수도 엄연한 예술인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강력히 맞섰고, 결국 공연을 성사시켰다.

그 이후, 그녀는 40주년, 50주년, 60주년 공연도 같은 장소에서 개최하며 세종문화회관을 자신의 대표적인 공연장으로 만들었다. 이번 고별 공연 역시 같은 장소에서 열리게 되어, 그녀의 음악 인생을 정리하는 데 가장 의미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5. 🎵 전통가요의 미래를 바라보며

이미자는 이번 공연이 단순한 ‘마지막 무대’가 아니라, 전통가요의 미래를 위한 이정표가 되길 바라고 있다. 그녀는 “내가 떠난다고 해서 전통가요가 사라져서는 안 된다”라며, 후배들에게 계속해서 이 장르를 이어가길 당부했다.

그녀는 “지금 젊은이들은 전통가요를 ‘졸린 음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통가요는 과거 한국인의 삶과 감정을 담은 소중한 유산이다. 젊은 세대가 이를 ‘정통 트로트’ 혹은 ‘전통가요’로 기억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녀는 비록 무대에서 내려오지만, 앞으로도 방송과 언론을 통해 전통가요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6. 🎤 마무리 – 영원히 기억될 전설의 마지막 무대

이미자의 마지막 무대 ‘맥을 이음’은 단순한 이별이 아니다.

그녀의 목소리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었고, 이번 공연을 통해 그녀의 유산이 후배들에게 이어질 것이다.

🎟 66년 전통가요의 역사적 순간, 당신도 함께하세요!
🎶 ‘맥을 이음’ – 한국 음악사의 마지막 황금빛 무대!

👉 공연 정보:
📅 일정: 2024년 4월 26~27일
📍 장소: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7. 주차장 정보 사전확인하기

 

 

 

 

 

 

이미자 고별 공연

 

반응형